*Vix지수란?
vix지수라고 주식을 하신다면 다들 한번씩은 들어보셨죠? '공포지수'라고도 불리는 vix지수는 영어로 'Volatility index' 영어 그대로 해석해보면 '변동성 지수'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말뜻 그대로 현재 증시의 변동성에 대해서를 나타낸 지수인데 증시와는 반대로 움직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제가 전에 포스팅 했던 fear and greed와 비슷한 지표인데 소비자들의 탐욕과 공포에 대해서 나타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fear and greed를 선호합니다 다양한 지표들이 합쳐져서 나타내는것도 있고 보기에도 많이 편합니다
만약에 vix지수가 점차 높아진다면 투자자들이 불안해해서 시장에 변동성이 켜졌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vix지수가 낮아진다면. 투자자들이 시장에 대한 걱정이 없이 투자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vix지수가 최고치에 달한다면 투자자들이 겁에질려서 매도할 사람들은 전부 매도를 한상태로 보시면 되고 매도할 사람들은(장기투자로 가지고 갈 사람들은 어차피 안팔 것이므로) 전부 다 매도를 한상태이니 증시의 바닥으로 보는것입니다.
*Vix지수 요약
20미만=앞으로 상승세가 이어질것이고 증시가 좋을것이다
20~30=평균
30이상=시장의 미래가 불안하다.
(vix지수가 올라간다면 투자자들이 불안하다,vix지수가 내려간다면 투자자들이 걱정이 없다)
*사례를 통한 Vix지수
2020년도 초에 코로나로 인해서 시장이 주저 앉았었죠. 이때 만약에 바닥을 잘만 잡아서 오히려 주식을 매수할 기회로 보셨다면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모두가 겁에 질려서 vix지수가 얼마나 치솟았었는지 한번 봐보겠습니다.
March(3월)과 April(4월) 사이에 vix지수가 엄청나게 치솟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vix지수는 20~30이면 평균으로 생각하시면 되고 만약에 30을 넘어가서 40~50정도가 된다면 엄청나게 변동성이 높아진것(겁에질린것)으로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40~50을 매수 시점으로 생각해도 편하다)
한마디로 저때를 매수 시점으로 잡으면 되겠죠. 위에를 보시면 3월에 vix지수가 40~50 이라는 수치도 엄청나게 변동성이 높은것으로 생각하는데 80을 넘겼으니 많은 투자자들이 얼마나 겁에 질렸는지를 알 수 있겠죠?(2008년 금융위기때는 vix지수가 89까지 올랐다고 합니다)
*실전 사용
아래그림 vix지수와 나스닥의 차트를 가지고 왔습니다. 2020년 8월일때를 보시면 vix지수가 20초반까지 떨어져서 사람들이 너무 아무 걱정없이 주식을 거래하고 있다고 생각하시고 많이 수익이난 종목은 어느정도는 수익실현을 하고 현금을 일정비율 보유하면 됩니다.
그리고 조정장이 오고나서 vix지수가 9월초에 급격히 상승해서 30을 넘겼을때 겁에 질려서 팔사람들은 대부분이 팔았다고 생각하시고 욕심부리지 마시고 분할매수 하시면서 평소에 담고 싶었던 종목들을 분할매수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결론
vix지수는 현재 시장의 분위기를 파악하고 앞으로 투자를 공격적으로 할지 보수적으로 하면서 어느정도 차익실현을 통해서 현금을 마련할지에 대해서 참고하는 지표로 사용하시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그리고 항상 한가지 지표나 정보만 가지고 의지하시기 보다는 감을 익히고 다양 한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사용해서 매매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주식공부 > 거시경제(금리,환율,안전자산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나스닥 3%룰,거래량 반토막의 의미 (0) | 2021.03.10 |
---|---|
[참고]Spac주식의 매수시점은? (0) | 2021.02.04 |
[참고]10년마다 오는 경제위기를 알아내는 방법 (0) | 2021.02.02 |
[참고]주식시장이 버블로 인한 폭락을 한다면 복구하는 기간은 얼마나...? (0) | 2021.01.26 |
[워험관리]fear and greed (0) | 2021.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