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ed6

[참고]나스닥 3%룰,거래량 반토막의 의미 *뱅브로님 주식영상 꿀팁 *거래량 이번하락장에서 대표적인 테마주인 테스라를 가지고 이야기 해보겠다. 어제 2021년 3월9일에 시장이 전체적으로 튀어올랐다 월가에서는 항상 오른 이유 짜서 맞추지만 코로나와 같은 폭락이 아니라면 그냥 개미털기 or 가격조정이다. 참고로 2월10일의 첫 하락(조정) 날짜만 보면 거래양이 Regular Day보다는 두배정도 증가한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많은 세력이 매도를 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때까지만 햇어도 큰손들의 움직임은 없었던걸로 기억한다. 암튼 그뒤로는 거래량이 비슷하게 유지되다가 3월4일부터 거래량이 두배가 된것에 두배정도 되는 거래량을 보이면서 하락이 시작된다. 이때부터 엄청난 panic sell이 시작되지만 정확히 3월8일부터 매도세가 다시 절반으로 줄어든.. 2021. 3. 10.
[20210305]나스닥 일기(미국채 10년물 금리,이번조정 총정리) 20210305 나스닥 지수가 고점대비 약 12~13%가 빠지면서 2020년 9월의 조정 이후로 최대의 조정을 맞았다. *2020년의 조정 3월 코로나로 인한 고점대비 -33%의 조정 9월 대장주들의 연이은 하락으로 인한 버블 논란 -13%의 조정 10월 대선 불확실성으로 인한 -9.5%의 조정 *2021년의 조정 2월 10년물 국채금리의 상승으로 인한 금리인상 우려+인플레이션 걱정 약 13%의 조정 아직 조정이 끝났다고는 볼 수 없지만 과거와 비교 했을때 현재의 조정은 거의 막바지를 향해가고 있다고 보인다. 이번 조정은 특히 나스닥에 큰 타격이 있었다. 나스닥 중에서도 그간 거품이 많이 끼었다고 하는 전기차,반도체,핀테크,spac주식,테마주,바이오에 영향이 컸다. 반대로 contact주들과 은행,그리고.. 2021. 3. 6.
[주식공부]달러 인덱스(Dollar index) 요즘 재태크 공부를 하면서 점차 Risk관리 하는법에 대해서 부쩍 관심이 많이 생기고 있다. 재태크 중에서도 주식에 현재는 관심이 많아졌는데 나중에는 주식말고 부동산과 안전자산에 대해서도 공부를 하겠지만 현재는 주식공부에 힘을 쏟는중이다. Risk관리 공부를 하려는 이유는 나스닥이 정말 큰 조정없이 너무 많이 올랐다는 생각이 많기 때문이다. 현재 상황은 코로나로 인한 경기 불황으로 인해서 정부가 시장의 유동성을 위해서 양적완화와 낮은 금리를 통해서 시장에 돈을 많이 풀어놓은 상태다. 그러니 자산들은 거품을 물고 거품이 생기고 있는것이다. 만일 이상태에서 실물경제가 받쳐주지 못한다면 자산가격에 거품만 낀 상태로 빈부격차는 더욱더 심해질 것이고 인플레이션이 시작될것이다. 인플레이션이 오면 fed는 금리를 인.. 2021. 2. 17.
[20210125]증시강세는 계속 될것... 최근 증권업계에서는 시장의 버블 논란을 반박한다. 가파른 주가 상승이 있지만 여전히 다른 자산보다 오를 가능성이 커서 주식 투자가 이어질 것이란 얘기다. 투자자들이 우려하고 있는 금리 상승은 주가 상승세를 꺾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기는 한다.(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금리가 올라간다면 엄청나게 큰 조정이 오지 않을까 싶다.) 증권사 조사에 따르면 앞으로 금리가 오르더라도 실질 금리(물가 상승을 감안한 이자율)는 마이너스 상태이기 때문에 주식시장의 강세는 계속될 것이라고 한다. 주식과 반대위치에 있는 채권으로 돈이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 채권은 실질 금리가 마이너스기 때문에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손해가 발생하고 있다. 당분간 이런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연준은 2%가 넘는 물가상승률을 허.. 2021. 1. 25.
[20210118]바이든의 대규모 경기부양계획에서 주식시장 수혜자와 비수혜자 당선자인 조 바이든은 1조9000억 달라의 두번째 대규모 부양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저번주 금요일 주식시장은 조정을 보였다. 이게 무슨일인지 알아보자. 대부분의 사람들은 두번째 부양책이 발표되고 S&P 500,SPX, Dow 지수,나스닥이 상승했다는 뉴스를 예상했을 것입니다. 부양책은 너무 좋은 것일 수도 있고, 스마트머니를 굴리는 큰손들과 전문 투자자들도 그것을 알고 있습니다. 당연히 누구도 원망하지 않을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개인의 노력을 벗어난 코로나라는 펜데믹으로 인해서 고난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투자자들은 또한 큰 그림을 생각해봐야 한다. 그로인한 여파는 결국 정치인들이 흥정하는 것외에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것은 확실히 주식시장과 경제에 승자와 패자를 낳을것이고, 그로인한 피.. 2021. 1. 18.
[20210116]바이든의 두번째 부양책 계획(Biden's second stimulus) 바이든의 'rescue america(미국을 구제하라)'라는 경제 부양계획은 규모가 크다. 현재 두번째 부양책이 월가와 main street(중산층) 양쪽에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시민들은 백신 접종을 기다리고 있지만, 여전히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다가오는 목요일에 취임하기도 전이지만 이번 코로나로 인한 펜데믹을 퇴치하기 위해 또 다른 부양책인 1조 9천억 달러의 지출 방안을 제안했다. 워싱턴이 또 다른 대규모 부양책을 논의함에 따라 투자자들은 주식 시장이 과열되고 차입비용(돈을 빌리는 수수료나 이자같은 돈)이 상승할 수 있는 경제에 의해 위협받을 수 있고 또한 잠재적으로 지속 불가능한 부채를 미국이 떠안게 될 수도 있다고 월.. 2021.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