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8 [주식용어]오퍼레이션 트위스트(단기채,장기채,실질금리) 미국채 10년물 금리의 상승은 금리상승을 예상하기 위해서 참고하는 지수이다. 그런데 거기에 더불어서 현재 미국채 2년물의 금리의 상승은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를 예상할 수 있다. 명목금리(미국채 10년물 금리) - 물가상승률(기대 인플레이션 BEI) =실질금리(물가연동 국채 TIPS) 따라서 명목금리가 많이 상승할 수록 더 많은 물가상승률을 기대하는데 위에 갈호 안에 처럼 명목금리를 미국채 10년물 금리로 보기 때문에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되게 중요하다. '오퍼레이녓 트위스트'란 연준이 보유한 단기채를 팔고 그돈으로 장기채를 사는것을 말한다.(채권수익률 곡선 평탄화 작업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장기채 수익률을 낮추기 위해서이다. 단기채를 판다 ---> 단기채가 수중에 더 많아진다 ---> 단기채 수익률.. 2021. 3. 9. [20210309]10년물 채권금리의 계속된 상승.. 그리고 나스닥 조정 요즘 시장은 10년물 채권금리에 집중해 있다. 어제도 장중에 1.6%를 넘기면서 나스닥이 또 다시 조정을 맞았는데 어제 10년물 채권금리의 상승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첫번째 이유는 1.9 조 달러 규모의 부양책의 자금이 국채 발행을 통해 지원 된다는 점에서 미 국채 금리의 상승을 촉발 했다.(국채를 발행하면 국채가 흔해지게 되고 가치가 떨어지면서 국채가격이 낮아지는데 국채가격이 낮아지니 국채금리(국채 수익률)은 더 높아지는 것이다.) 옐런 재무장관은 이번 1.9조 달러 규모의 부양책으로 미국 경제 정상화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했다. (추가적인 돈풀기) 두번째 이유는 옐런 재무부 장관이 내년에 완전 고용으로 복귀할 것이라고 말한것 때문인데 현재는 경제가 빨리 좋아질수록 금리 인상 시기가 빨라질것이라고 투.. 2021. 3. 9. [20210305]나스닥 일기(미국채 10년물 금리,이번조정 총정리) 20210305 나스닥 지수가 고점대비 약 12~13%가 빠지면서 2020년 9월의 조정 이후로 최대의 조정을 맞았다. *2020년의 조정 3월 코로나로 인한 고점대비 -33%의 조정 9월 대장주들의 연이은 하락으로 인한 버블 논란 -13%의 조정 10월 대선 불확실성으로 인한 -9.5%의 조정 *2021년의 조정 2월 10년물 국채금리의 상승으로 인한 금리인상 우려+인플레이션 걱정 약 13%의 조정 아직 조정이 끝났다고는 볼 수 없지만 과거와 비교 했을때 현재의 조정은 거의 막바지를 향해가고 있다고 보인다. 이번 조정은 특히 나스닥에 큰 타격이 있었다. 나스닥 중에서도 그간 거품이 많이 끼었다고 하는 전기차,반도체,핀테크,spac주식,테마주,바이오에 영향이 컸다. 반대로 contact주들과 은행,그리고.. 2021. 3. 6. [20210228]나스닥일기(10년물 채권금리,경기반등 관련주,큰손들의 움직임) 최근 투자하고 있었던 기술주들의 조정에 관련해서 정리해보면 나의 포트폴리오는 성장주와 바이든 테마주 위주였다고 보면 된다. 백신을 맞더라도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서 좀더 경기민감주들의 고통이 길어질것으로 예상했지만 백신이 변이 바이러스에도 효과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점차 사람들이 밖에서 경제활동을 하면서 돈을 쓸것이고 실업자는 점차 적어질것으로 보여진다. 이런 이유로 성장주와 가치주 그리고 테마주로 몰렸던 돈이 빠지면서 원자재와 기름 그리고 경기민감주(여행,크루즈,카지노,영화관)쪽으로 옮겨가고 있는것 같다. 따라서 현재 주식시장에서 돈이 빠져나간다기 보다는 그냥 돈의 이동으로 보여진다. 아래 그림을 통해서 한달간 주식시장에서의 돈의 이동을 볼 수 있는데 보시다시피 에너지(energy),원자재(basic .. 2021. 2. 28. [주식공부]미국 10년물 국채금리 & 주식 응용 1편 오늘 미국 10년물 국채금리의 마지막 정리를 하고 실제(?)로 어떻게 활용하고 그리고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대해서 말해보고 마칠 생각이다. 현재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저번에 말했듯이 채권금리가 오르게되면 경제의 호황을 예측하고 시장으로 돈이 흘러가는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너무 많은 돈이 몰리면 슬슬 자산 가격에 버블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점차 높아지는 채권금리로 인해서 사람들이 채권에 슬슬 관심이 생기게 된다. 굳이 위험한 주식을 할빠엔 수익률도 좋고 안전한 채권) 이때 중요한것은 실물경제도 같이 좋아지는것인데 만약에 실물경제가 같이 좋아지지 못하게 되고 인플레이션이 찾아오게 되면 fed는 금리 인상을 해야한다. 금리 인상을 하게 되면 사람들이 돈을 빌려서 부동산을 사.. 2021. 2. 20. [주식공부]달러 인덱스(Dollar index) 요즘 재태크 공부를 하면서 점차 Risk관리 하는법에 대해서 부쩍 관심이 많이 생기고 있다. 재태크 중에서도 주식에 현재는 관심이 많아졌는데 나중에는 주식말고 부동산과 안전자산에 대해서도 공부를 하겠지만 현재는 주식공부에 힘을 쏟는중이다. Risk관리 공부를 하려는 이유는 나스닥이 정말 큰 조정없이 너무 많이 올랐다는 생각이 많기 때문이다. 현재 상황은 코로나로 인한 경기 불황으로 인해서 정부가 시장의 유동성을 위해서 양적완화와 낮은 금리를 통해서 시장에 돈을 많이 풀어놓은 상태다. 그러니 자산들은 거품을 물고 거품이 생기고 있는것이다. 만일 이상태에서 실물경제가 받쳐주지 못한다면 자산가격에 거품만 낀 상태로 빈부격차는 더욱더 심해질 것이고 인플레이션이 시작될것이다. 인플레이션이 오면 fed는 금리를 인.. 2021. 2. 1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