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거시경제(금리,환율,안전자산 등)

[금리]나만의 거시 경제 보는법(금리,통화)

by 20대 미국개미 2025. 1. 9.
반응형

 

1)국가간의 금리차 발생時: 금리가 더 높은 국가로 투자금 이동(안전성이 높으면 더 이동)

ex)한국 24년 3월 한국 금리 3.5, 미국 금리 5.25 였을때 한국 기준금리는 낮고 안전성도 떨어지니 매수하지 않음 따라서 한국채 수요↓ 더 많은 이자를 줘야지 살려고 할것이므로 한국채 금리↑+기업 및 국가의 자금 조달 Hard(기준 금리와 시중 채권 금리의 gap이 발생하게 됨), 반면 미국채 수요↑ 더 적은 이자를 줘도 살려고 할것이므로 미국채 금리↓+기업 및 국가의 자금 조달 Easy

 

2)미국 관세 부과(보편관세 10~20%): 상대국 통화 가치 하락(달러 가치 상승됨)

ex)25년 트럼프 당선되며 미국 대상 빅4 무역흑자국 중국,EU,브라질,캐나다 대상으로 과세 부과를 예고, 관세를 맞는 국가는 통화가치가 달러 대비해서 하락하게 됨, 무역이 줄어들으니 해당 국가는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해당 나라에 속한 기업들에 투자금을 회수하고 이는 해당 국가의 통화를 팔게해서 가치를 떨어뜨림+상대국의 경제적 악영향을 우려해서 안전자산인 달러로 이동시키는 경향

→대응방법은 자국 통화 가치 절하: 1달러 5위안일때 중국에서 5,000위안인 상품을 미국에 수출한다면 미국에서는 그 상품이 1,000달러에 판매가 될 것인데, 미국에서 그 상품에 대해 100%의 관세를 부과한다면, 미국에서의 가격은 2,000달러가 됨, 미국에서 관세 부과 후 가격이 2,000달러가 되면 가격이 비싸져서 기업,시민들이 안삼. 따라서 미국에서의 판매가격을 1,000달러로 하기 위해 중국은 자국통화를 평가절하(자국통화의 가치를 떨어뜨림), 환율을 1달러당 5위안에서 10위안으로(달러 가치를 상승)시키면 5,000위안인 상품가격이 미국에서 500달러가 되고 여기에 관세율 100%를 적용하면 관세부과 후 미국에서의 판매가격이 1,000달러가 됨(관세 부과에 따른 가격상승효과를, 가격하락효과를 가져오는 중국의 자국통화의 평가절하를 통해, 관세의 효과가 없어지도록) →이렇게 되면 미국은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보고 통화 보조금을 부당하게 받았다고 보고 국내 산업에 들어와서 피해를 준다고 판단하여 위에 부과한 관세 외에 추가로 또 상계관세를 부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