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3

[20210120]매매일지 First solar inc(fslr) 98.87달러 6주 매수 이유1:친환경에너지 관련주식을 사려고 기달리고 있었다. 이유2:invesco solar etf(Tan)에서 5번째로 많이 담은 태양광에너지 기업이다. 이유3:앞으로 더떨어질 수도 있지만 떨어진 주식을 주워 담아야한다. 이유4:펀더멘탈이 좋은 회사이다. 이유5:저번주 금요일에 많이 떨어졌기 때문에 과매도 되었다고 판단해서 매수했다. 이유6:꾸준히 우상향중인 회사이다. Solaredge technologies(Sedg) 296.02달러 4주 매수 이유1:친환경에너지 관련주식중 보고있었던 종목중에 하나인데 과매도라고 판단해서 매수했다. 이유2:invesco solar etf(Tan)에서 2번째로 많이 담은 태양광에너지 기업이다. 이유3:펀더멘탈도.. 2021. 1. 20.
[Tesla]테슬라를 향한 엇갈린 시선 *테슬라를 더 사야한다는 의견 Chamath palihapitiya라는 '넥스트 워렌버핏'이라는 별명을 가진 사람 이 있습니다. 이분의 커리어를 보면 정말 화려한데요 아직 와전한 상승장과 하락장을 겪지는 않았다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쳐도 S&P500성장률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뛰어난 투자자인것은 확실합니다. 위의 그림을 보시면 연평균 수익률이 약 30%를 웃돌고 있는것을 보면 정말 대단합니다. 이외에도 페이스북에서 임원으로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넥스트 워렌 버핏이라고 하고 계십니다. 이제 이분이 커리어는 설명이 끝났는데 이분은 테슬라의 오래된 주주중에 한분이십니다. 그리고 테슬라에 긍정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고 앞으로의 전망이 에너지관련 사업들에 의해서 많은 변화가 우리 실생활에서 일어날 것이.. 2021. 1. 20.
[워험관리]VIX지수 *Vix지수란? vix지수라고 주식을 하신다면 다들 한번씩은 들어보셨죠? '공포지수'라고도 불리는 vix지수는 영어로 'Volatility index' 영어 그대로 해석해보면 '변동성 지수'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말뜻 그대로 현재 증시의 변동성에 대해서를 나타낸 지수인데 증시와는 반대로 움직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제가 전에 포스팅 했던 fear and greed와 비슷한 지표인데 소비자들의 탐욕과 공포에 대해서 나타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fear and greed를 선호합니다 다양한 지표들이 합쳐져서 나타내는것도 있고 보기에도 많이 편합니다 만약에 vix지수가 점차 높아진다면 투자자들이 불안해해서 시장에 변동성이 켜졌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vix지수가 낮아진다면. 투자자들이 시장에.. 2021. 1. 19.
[주식용어]공매도 *공매도란? 공매도란 주식투자를 하시면 한번을 들어 보셨을 겁니다. 저도 유튜브를 보면서 공매도로 인한 숏 스퀴즈가 일어났다느니 등 궁금해서 알아봤었는데 한국주식에는 공매도가 없다고 들었습니다. 하지만 외국에서는 기관이나 큰손들뿐만 아니라 개인투자자들도 쉽게 할 수 있는 매매법이죠. 하지만 최근에 공매도로 인해서 한국주식시장에 말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공매도를 한자로 풀어보면 '빌 공'자를 사용해서 '비어있는 매도??'라고 해석이 되고 외국에서는 'short selling,sell short을 해버린다' 라는 등 이런식으로 사용하더군요. 말 그대로 가지고 있지 않은 매물을 파는것입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고요? 미래에 내가 생각하는 종목이 떨어질것 같다라고 생각하면 타인의 주식을 빌려서 매도 하고 그 .. 2021. 1. 19.
[주식용어]테이퍼링 *테이퍼링이란? 한국어로는 '점점 가늘어지다'라는 뜻 입니다. 말 뜻 그대로 무언가를 점차 줄이는 느낌이 있는 용어인데 여기서는 양적완화를 점차 줄이는것을 말합니다.(밴 버냉키 라는 전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처음 사용하면서 양적완화 축소의 의미로 사용 되고 있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렸다싶이 중안은행이 경기를 부양시키기 위해서 첫번째로 하는게 금리 인하 입니다. 하지만 금리를 아무리 내려도 경기부양이 쉽지않고 이번처럼 소비가 아예 멈춰버릴 정도의 pandemic은 경기를 매우 안좋게 만들어 버리죠. 그때 중앙은행 즉 fed가 하는게 양적완화입니다. 양적완화를 통해서 시장에 직접 돈을 풀어서 통화량을 늘리고 정부의 국채 및 금융자산,모기지 증권 등을 직접 사들이는 것이죠. 이렇게 양적완화를 하면은 단기적으로 경.. 2021. 1. 19.
[주식용어]양적완화 *양적완화란? '양적완화'란 일본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일본에서 1989년에 자산의 버블이 무너지고 나서 디플레이션이 시작되었다 히자만 디플레이션이 계속 되었고 금리를 계속해서 낮추었지만 경기부양과 자산가격의 복구도 하지 못했다. 그래서 꺼낸 방법이 바로 양적완화란 정책이다. 중앙은행이 시장의 부양을 위해서 정부의 국채 및 다양한 금융자산 등을 직접 돈을주고 매입하는것이다.(중앙은행의 역할은 금리를 조절하여서 통화량과 인플레이션을 조절한다.) 한마디로 금리 인하로도 경기 부양효과를 보지 못했을때 시장에 직접 많은 돈을 푸는 방법인데 정부가 하는것이 아니라 은행(연준)이 돈을 푸는것이다. 이때 일본은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그런데 2008년 리먼브라더스 파산으로 금융위기가 찾아오면서 미국이 이 방법을 .. 2021.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