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45

[20210224]나스닥일기(과도한 부양책,금리인상걱정,인플레이션) 나스닥이 과도한 부양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걱정으로 인해서 몇일간 조정을 보였다. 앞에서 말했듯이 지금의 조정은 살짝 당연하다 양적완화로 회사들은 변함없이 똑같은 펀더멘탈을 가지고 있지만 회사의 시총만 커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와 반대로 실물경제는 아직 따라 오지 못하고 있다. 이런 나스닥의 조정도 이번주내로 끝나지 않을까 싶다. 2020년 9월 조정은 최고점으로부터 나스닥지수가 -13%정도 조정을 보였었고 2020년 10월의 조정은 최고점으로 부터 나스닥 지수가 -9%정도 조정을 보였었다. 9월 같은경우는 기술주들이 즐비한 나스닥에 대장주였던 테슬라와 애플 같은 회사들이 지수를 끌고 가는 느낌이었다. 이때 테슬라의 최대 지주가 지분을 팔고 s&p500합류 무산으로 테슬라가 폭락을 하자 다른 기.. 2021. 2. 24.
[20210222]나스닥일기(워렌버핏,13F,금,경기반등 관련주) 어제 나스닥이 시원하게 조정을 받았는데 주식을 시작하고나서 나의 mind가 한단계 성장한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2020년 9월2일 내가 처음 겪은 나스닥의 조정은 나에게는 엄청나게 큰 공포였다. 일단 그 당시에는 분산투자나 나스닥이 과열됐을때 조심하자 이런 기초상식 조차 없어서 가장 high한날 내 전재산을 한 회사에 투자한것이었다. 전체 수익률이 -35% 정도였고 도망갈까 말까 한참을 고민했었다. 하지만 2021년 2월22일은 달랐다. 반대로 내가 현금이 많았다면 내가 매도하는 가격에 누군가는 좋구나 하고 매수할 매수찬스였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똑같은 주식 한주를 가지고도 생각하는게 크게 다르다는 것이다. 참고로 나스닥은 양적완화 낮은 금리를 밑에 깔고서 작년 10월의 마지막 조정을 받은뒤로 한번도 .. 2021. 2. 23.
[주식공부]미국 10년물 국채금리 & 주식 응용 1편 오늘 미국 10년물 국채금리의 마지막 정리를 하고 실제(?)로 어떻게 활용하고 그리고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대해서 말해보고 마칠 생각이다. 현재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저번에 말했듯이 채권금리가 오르게되면 경제의 호황을 예측하고 시장으로 돈이 흘러가는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너무 많은 돈이 몰리면 슬슬 자산 가격에 버블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점차 높아지는 채권금리로 인해서 사람들이 채권에 슬슬 관심이 생기게 된다. 굳이 위험한 주식을 할빠엔 수익률도 좋고 안전한 채권) 이때 중요한것은 실물경제도 같이 좋아지는것인데 만약에 실물경제가 같이 좋아지지 못하게 되고 인플레이션이 찾아오게 되면 fed는 금리 인상을 해야한다. 금리 인상을 하게 되면 사람들이 돈을 빌려서 부동산을 사.. 2021. 2. 20.
[20210218]매매일지 Tesla(tsla) 775달러 1주 매수 이유1:일단 목표했던 매수가에 도달해서 1차 매수로 1주 매수했다. 이유2:오랬동안 현재 가격대에서 버텨주는것을 보니 팔 사람들은 다 팔고 살려고 하는사람들만 대기하는것 같다. 이유3:올해에 테슬라에 많은 좋은 뉴스들이 있고 그것을 생각해서 매수했다. 이유4:항상 바닥을 맞출수는 없기 때문에 1차로 1주만 매수 했다. 이유5:현재 테슬라의 rsi는 35인데 이 수치는 정말 오랫동안 본적이 없을정도로 많이 내려와 있다고 생각한다. 이유6:mfi도 29를 찍고 살짝 반등하는 모양을 보이고 있다. 이유7:macd의 divergence도 충분히 벌어져서 이제 슬슬 매수할 시점이 됐다고 60일선에 닿을때가지 2~3차 분할 매수할 생각이다. 불안한점1:조정의 첫번째 날에 .. 2021. 2. 18.
[주식공부]달러 인덱스(Dollar index) 요즘 재태크 공부를 하면서 점차 Risk관리 하는법에 대해서 부쩍 관심이 많이 생기고 있다. 재태크 중에서도 주식에 현재는 관심이 많아졌는데 나중에는 주식말고 부동산과 안전자산에 대해서도 공부를 하겠지만 현재는 주식공부에 힘을 쏟는중이다. Risk관리 공부를 하려는 이유는 나스닥이 정말 큰 조정없이 너무 많이 올랐다는 생각이 많기 때문이다. 현재 상황은 코로나로 인한 경기 불황으로 인해서 정부가 시장의 유동성을 위해서 양적완화와 낮은 금리를 통해서 시장에 돈을 많이 풀어놓은 상태다. 그러니 자산들은 거품을 물고 거품이 생기고 있는것이다. 만일 이상태에서 실물경제가 받쳐주지 못한다면 자산가격에 거품만 낀 상태로 빈부격차는 더욱더 심해질 것이고 인플레이션이 시작될것이다. 인플레이션이 오면 fed는 금리를 인.. 2021. 2. 17.
[주식공부]세금 1편 1편은 주식세금의 기초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요즘 해외주식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거의 대부분 많은 이익을 얻고 계실겁니다 양적완화와 낮은 금리를 바탕으로 엄청난 상승을 꽤하고 있죠. 아무튼 이런 상황에서 은근 많은 비용이 드는 부분인 세금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세금도 생각보다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야기를 안할래야 안할 수 없죠. 주식거래로 인한 세금은 2가지가 있습니다. 양도차익과 배당수익인데 양도차익은 주가의 변동에 따라 주식을 '팔았을때' 얻는 이익이고 배당수익은 말그대로 배당을 통해서 받는 이익입니다. *국내주식 국내주식을 할때는 일반 개인 투자자는 양도차익세라는것이 존재하지 않아서 좋긴한데 한국주식은 여전히 박스권에 있다는 말들과 제가 경험한 미국주식과 한국주식 사이의 .. 2021.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