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공부45 [20210310]성장주들은 앞으로 어떻게..?(미국채 금리,일본에서의 미국채 매입,증시... 숏커버로 급등) 투자자들로 부터 큰관심을 가지고 있는 미국채 10년물의 금리는 2021년 3월 19일 미국채의 대규모 물량이 전부 치열하게 소화됨으로써 살짝 안정화됐다. 이로인해서 나스닥의 성장주들과 국채금리로 인해서 주춤했던 주식들이 전부 반등했다. 이번주 총 1200억달러 규모의 미 국채 입찰이 예정돼 있는 가운데, 첫 번째 3년 만기 국채 580억달러어치가 이날 진행됐다. 경쟁 입찰 결과 발행 금리는 평균 연 0.355%로 비교적 낮게 형성됐다.(경쟁이 더 치열했기 때문에 단기채의 금리가 더 낮아진것이다.) 응찰률은 2.69배로, 지난달(2.39배)은 물론 과거 평균치(2.40배)보다 높았다. 기관투자가들이 국채를 사려고 경쟁적으로 입찰에 응했다는 의미다. 경쟁률이 높아지면 가격이 올라가고, 수익률은 낮아진다. 최.. 2021. 3. 10. [주식용어]YCC 요즘 자주 나오는 말중에 하나인 YCC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YCC란 'Yield curve control'의 약자를 말하고 한국말로는 '수익률 곡선 관리'라고 합니다. 양적완화는 장기채권을 매수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때 장기채권을 매수하는 이유는 단기채 금리와 장기채 금리 차이가 벌어지는것을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YCC도 장기채를 매수합니다. 장기채 금리를 정해 놓고 채권을 매수하는 것이죠. 양적완화는 채권 매수 총량이 정해져 있는 것이고 YCC는 목표 장기채 금리가 정해져 있죠. 일드캡도 YCC로 비슷한데 일드캡과 YCC차이점을 예를들면 일드캡은 10년 장기채 수익률이 1%로 이상이면 장기채를 무제한 매입(장기채 수익률을 떨어뜨리기 위해서)을 하는 것이고 YCC는 10년 채권수익률 1.. 2021. 3. 9. [재무제표]Pbr 주식하시는 분들이라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단어에는 per,pbr,roe가 있죠. 오늘 마지막 Pbr에 대해서 정말 간단하게 집고 넘어가려고 합니다. *Pbr이란? Pbr=주가 ➗ 주당 순자산 (자본금+자본 잉여금+이익잉여금) =시가총액(주가X주식수)➗자본총계(총자산-총부채) 주간순 자산비율을 말하고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서 1주당 몇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 약국을 예시로 설명하겠습니다 예시1) A약국 3억원의 자산가치(약+설비) 운용 A약국이 급한 사정으로 인해서 약국을 정리하려고 하는데 너무 급해서 3억원의 자산가치를 포기하고 2억원에 급매도했다. B약국 2억원의 자산가치(약+설비) 운용 B약국은 로또에 당첨되서 천천히 약국을 정리하려고 2억원에 매도 했다. 정리하자면 A약국의 pbr은 .. 2021. 3. 7. [20210305]나스닥 일기(미국채 10년물 금리,이번조정 총정리) 20210305 나스닥 지수가 고점대비 약 12~13%가 빠지면서 2020년 9월의 조정 이후로 최대의 조정을 맞았다. *2020년의 조정 3월 코로나로 인한 고점대비 -33%의 조정 9월 대장주들의 연이은 하락으로 인한 버블 논란 -13%의 조정 10월 대선 불확실성으로 인한 -9.5%의 조정 *2021년의 조정 2월 10년물 국채금리의 상승으로 인한 금리인상 우려+인플레이션 걱정 약 13%의 조정 아직 조정이 끝났다고는 볼 수 없지만 과거와 비교 했을때 현재의 조정은 거의 막바지를 향해가고 있다고 보인다. 이번 조정은 특히 나스닥에 큰 타격이 있었다. 나스닥 중에서도 그간 거품이 많이 끼었다고 하는 전기차,반도체,핀테크,spac주식,테마주,바이오에 영향이 컸다. 반대로 contact주들과 은행,그리고.. 2021. 3. 6. [재무제표]Roe Roe란 '자기자본 이익률'이라고 부른다.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roe=당기순이익➗자본총계(자산-부채) 참고로 '당기순이익'이란 '기간 순이익' 이라고 보면되는데 영어로 보면 오히려 더 이해하기 쉽다.(net profit during the term) '자본 총계= 자산-부채'를 말하는데 예시를 들면 아파트 투자시에 자산= 아파트 가격 10억 부채= 대출 4억 이라면 자본총계는 6억이다.(부동산 용어에서 자본총계=실 투자금 이라고도 부른다.) *Roe의 특징 (1)roe가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게 좋다. (2)주가와 상관이 없어서 주가의 변동과 상관없이 확실한 지표.(계산식에 '주가'가 안들어감) (3)내가 만약 연평균 투자수익률 10%이상인 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roe가 10이상인 회사에 투.. 2021. 3. 4. [재무제표]Per 주식하시는 분들이라면 per을 보고 투자하라는 말씀 많이 들으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per란 주가 수익 비율을 말하는데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 몇년안에 원금(주가)회수가 가능하냐를 말하는 것입니다. per=시가총액➗당기 순이익 =주가➗eps(주당 순이익) =100➗기대수익률(이자율,%) =미래➗미래 =미래 per =내가 산 주가➗미래의 순이익(↑) 이라면 나의 per는 엄청 낮아질 것이다. 그래서 미래를 보고 투자하는것이다. 따라서 순이익이 얼마나 빠르게 성장하느냐에 따라서 per가 빠르게 떨어진다. 하지만 순이익이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는 per가 보통 유지되거나 높아질 수 있다. 왜냐? 순이익이 높아지면서 투자가 많아지면서 주가가 따라서 올라가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싼 가격일때 주식을 사놓는다면 .. 2021. 3. 1. 이전 1 2 3 4 5 6 ··· 8 다음